서버 11

[CI/CD 서버 구축 #5] Maven deploy 시 자동 생성된 pom.xml로 인한 문제와 해결법

폐쇄망 환경에서 mvn deploy:deploy-file 명령어로 외부 라이브러리를 Nexus Repository에 수동 업로드할 때, 종종 발생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자동 생성된 pom.xml이 실제 배포된 라이브러리의 메타 정보와 다를 경우 발생하는 의존성 충돌 또는 빌드 실패입니다.이 글은 이전글인 [이 글]과 이어진 글이므로 같이 보시면 좋습니다. 문제 : Maven이 생성한 POM이 원본과 다를 때 mvn deploy:deploy-file 명령어는 .jar 파일만 있으면 기본적으로 groupId, artifactId, version 등의 메타 정보만을 바탕으로 간이 POM 파일을 자동 생성합니다. 하지만, 실제 Maven Central에 배포된 라이브러리의 pom.xml에는 다음과 같은 중..

서버/CI 및 CD 2025.04.23

[CI/CD 서버 구축 #4] 폐쇄망 환경에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Nexus에 업로드하는 3가지 방법

기업 내부망이나 보안 상의 이유로 인터넷 접속이 제한된 환경에서도 개발에 필요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활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 Sonatype Nexus Repository Manager를 이용해 외부 라이브러리를 내부망으로 안전하게 가져오는 3가지 주요 방법을 소개합니다.설치에 관해 궁금하시면 이전 글인 [이 글]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1. 프록시 리파지토리 등록 (인터넷 가능 환경에서 미리 캐시)Nexus는 외부 저장소를 프록시(Proxy) 리파지토리로 설정하여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가져오고 로컬에 캐시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이 가능한 세팅 초기 단계에서 이 방법을 활용하면 수많은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설정 방법Nexus Repository Manager..

서버/CI 및 CD 2025.04.23

PuTTY 키 기반 로그인 설정 가이드 (Windows 기준)

설정 저장 SSH 접속을 자동화하고 보안성을 강화하는 법이 설정을 하기 전에 접속하려는 서버에 키 로그인 설정을 해야 하는데 그 부분은 [이 글]을 참고 하시면 됩니다. 이 글에서 다루는 내용PuTTY에서 OpenSSH 키 변환 방법키 기반 인증을 사용하는 SSH 로그인 설정접속 자동화 및 인증 오류 해결 팁 PuTTY 키 변환 (OpenSSH → PPK)PuTTY는 .ppk 형식의 키 파일을 사용합니다. Linux나 Jenkins 환경에서 생성한 id_rsa (OpenSSH) 키를 PuTTY에서 사용하려면 변환 과정이 필요합니다.변환 절차1. PuTTYgen 실행설치된 PuTTY 폴더 내 PuTTYgen을 실행합니다.2. OpenSSH 키 불러오기메뉴에서 File > Load private key 선택..

[CI/CD 서버 구축 #3] SSH 공개키 방식 로그인 설정 방법 (Jenkins 배포 연동용)

CI/CD 파이프라인에서 Jenkins를 사용해 자동 배포를 구성할 때, 보안성과 편의성을 위해 SSH 공개키 기반 로그인 방식을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리눅스 서버(dev 계정)**에 SSH 공개키 방식 로그인을 설정하는 과정을 상세히 정리합니다. 공개키 로그인 방식이란?SSH 공개키 방식은 비밀번호 없이 공개키/개인키 쌍을 이용해 인증하는 방식으로, 자동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Jenkins와 같은 빌드 서버에서 대상 서버에 비밀번호 없이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해 설정합니다. SSH 키 생성하기 (dev 계정 기준)$ ssh-keygenGenerating public/private rsa key pair.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 (/ho..

서버/CI 및 CD 2025.04.17

[CI/CD 서버 구축 #2] Rocky Linux에 Nexus 설치 하기

Nexus Repository Manager는 사내 CI/CD 환경에서 빌드 결과물(라이브러리, 패키지 등)을 저장·배포하는 데 사용됩니다.이 글에서는 Rocky Linux 서버에 Nexus 3.x 버전 설치를 단계별로 정리해보겠습니다.SI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내부망(폐쇄망)에서 프로젝트를 빌드해야 하기 때문에 미리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입고할 필요성이 있었고 다행히 내부망에 입고하기 전에 인터넷이 사용가능한 상황에서 설치 및 라이브러리 입고를 진행했습니다. 설치 경로이전 글의 젠킨스와 같은 서버에 설치하여 별도로 용량확인은 생략하였습니다.넥서스 설치 경로는 /dev/nexus로 구성했습니다. 사용자 및 그룹 생성보안과 권한 관리를 위해 전용 사용자와 그룹을 구성합니다.CI/CD에 사용하는 계정들을 같은..

서버/CI 및 CD 2025.04.14

[CI/CD 서버 구축 #1] Rocky Linux에 Jenkins 설치 (.war 파일 기반, Java 17)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때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구 중 하나인 Jenkins를 Rocky Linux 환경에 설치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이번 글에서는 .war 파일을 직접 실행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며, Java 17 환경을 기반으로 진행합니다. 설치 전 확인: 디스크 용량$ df -h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XXXG XXXG XXXG XX /Jenkins는 로그 및 빌드 파일로 인해 저장 공간이 점차 커질 수 있으므로, 충분한 디스크 용량 확보가 중요합니다.이번 설치는 /dev/jenkins 폴더를 생성하여 진행하였습니다. Jenkins 전용 계정 생성$ sudo usera..

서버/CI 및 CD 2025.04.14

우분투 시간대(Time Zone) 설정 방법

시스템의 시간대가 UTC로 설정되어 있어 한국 시간과 약 9시간 차이가 나는 경우, apt 패키지 설치 로그나 로그 파일 시간 등이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때는 시간대(Time Zone)를 적절히 변경해주는 것이 좋습니다.리눅스 시스템과 관련된 명령어는 [이 글]에서 확인 가능하니 참고 하세요. 1. 현재 시스템 시간 확인먼저 현재 시스템 시간을 확인합니다.$ dateSat Nov 5 10:11:03 AM UTC 2022위 출력처럼 UTC로 표시되고 한국 시간과 9시간 차이가 나면, 시간대 설정이 잘못되어 있는 것입니다 2. tzselect 명령어로 시간대 설정시간대 변경은 tzselect를 이용하여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tzselectPlease identify a location so t..

리눅스 기본 명령어 정리 #2 – 파일과 디렉토리 관리 필수 명령어

리눅스를 사용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명령어는 바로 파일과 디렉터리를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ls, cd, find, chmod, chown, df 명령어를 간단한 예제와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이전 글]은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는 글로 이 글을 읽기 전에 먼저 읽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1. ls – 디렉토리 목록 보기파일과 디렉토리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lssidejob.sh mariaDB.sh oracle21c.sh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출력합니다. ※ 자주 사용하는 옵션-l : 상세 정보(퍼미션, 소유자, 크기 등)를 리스트 형태로 출력-a : 숨김 파일 포함하여 모든 파일 출력 (.으로 시작하는 파일 포함)-t : 최종 수정 시간 순으로 정렬 (최..

절전모드 설정 및 해제 방법 – 원격 접속 유지 팁

원격으로 Ubuntu 시스템을 사용하다 보면 일정 시간이 지나면 네트워크가 끊기거나 시스템이 응답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Ubuntu의 절전모드(sleep/suspend/hibernate) 설정 때문인 경우가 있습니다.Ubuntu에서 현재 절전 모드인지 확인하고, 해제하거나 다시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현재 절전모드 설정 확인먼저 시스템의 절전 관련 상태를 확인합니다.$ systemctl status sleep.target suspend.target hibernate.target hybrid-sleep.target○ sleep.target - Sleep Loaded: loaded (/lib/systemd/system/sleep.target; static) Active: in..

우분투 노트북 덮개 닫으면 SSH 접속 안되는 현상, 절전모드 설정 변경으로 해결하기

문제상황우분투(Ubuntu)가 설치된 노트북을 원격으로 사용하려고 SSH 접속을 설정했는데, 노트북 덮개를 닫자마자 접속이 끊기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로그를 확인해 보니, 덮개를 닫을 때 **절전모드(Suspend)**로 전환되어 네트워크 연결이 끊기는 것이 원인이었습니다. 해결방법 : 절전모드 설정 변경우분투에서는 /etc/systemd/logind.conf 파일을 통해 노트북 덮개를 닫았을 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정을 수정하면 SSH 접속이 끊기지 않습니다.1. 설정 파일 열기$ sudo vi /etc/systemd/logind.conf2. 설정 변경 하기아래 줄을 찾아 주석을 해제하고 값을 ignore로 변경합니다.# 수정 전#HandleLidSwitch=suspe..